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서울시 고령인구 밀집지역 사회공간적 특성과 근린환경 개선방향

등록일: 
2021.07.26
조회수: 
4550
저자: 
양재섭, 성수연
부서명: 
도시공간연구실
분량/크기: 
181Page
발간유형: 
기초
과제코드: 
2020-BR-11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386.19 KB)
PDF icon 요약 (890.88 KB)
PDF icon 원본 (9.09 MB)
PDF icon 부록 (2.04 MB)

초고령사회 진입 대비 지역사회 돌봄과 연계해 고령인구 밀집지역, 근린환경 통합적 개선 필요

2020년 서울의 고령화율 14.5%…한국,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 전망

서울의 고령인구는 2000년 54만 명에서 2018년 136만 명으로 2.5배 증가하였다. 2019년 통계청 장래추계자료에 따르면, 2020년 고령화율은 전국 15.7%, 서울 14.5%로, 우리나라는 2025년이 되면 초고령사회(20%)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0년 이후 서울의 고령인구는 동북권과 서북권, 서남권 일부 지역에 집적하거나 고착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동북권의 도봉1동, 도봉2동, 상계1동, 서북권의 불광1동, 북가좌2동, 녹번동, 서남권의 여의동, 등촌3동 등에 고령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고령친화정책, 의료·복지서비스 중심 점적 개별사업으로 효과 미미

2010년 서울시는 “건강하고 활기찬 100세 도시, 서울”을 목표로 ‘2020 고령사회마스터플랜’을 수립하였고, 2011년에는 ‘노인복지 기본조례’를 제정하여 고령친화도시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후 2013년에는 WHO(세계보건기구)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회원도시에 가입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고령친화도시 정책과 사업은 의료·복지서비스 제공, 복지시설과 임대주택 등 개별적인 시설 공급에 중점을 두고 추진되었다.
특히, 서울시 고령친화도시 주관부서인 어르신복지과는 최근 고령친화 환경조성사업의 일환으로 ‘고령친화마을 시범사업(2017)’, ‘지역중심 어르신 돌봄 커뮤니티 사업(2018)’ 등을 추진하였다. 이들 사업은 대부분 실내환경 개선, 여가프로그램 등 복지서비스에 기반한 돌봄사업 위주로 추진되었지만, 점적인 사업으로 시행되어 효과가 미미하다는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고령인구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의료·복지·일자리 지원 외에, 고령자가 거주하는 지역사회의 근린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과 사업을 통합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