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서울도시연구

통근시간이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및 통근시간 가치 분석 - 서울시 가구 유형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등록일: 
2021.02.26
조회수: 
299
저자: 
전혜란, 전명진
발행일: 
2021-02-26
다운로드
PDF icon 21-3_05.pdf (337.11 KB)

이 연구는 2005~2018년 서울 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여 통근시간이 서울 시민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구 유형별, 성별 통근시간의 가치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의 증가에 따른 가구 유형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가구 유형을 1인 가구, 외벌이 가구, 맞벌이 가구로 구분하고 가구 유형에 따른 성별 통근시간 가치 차이를 분석한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통근시간은 모든 가구 유형에서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맞벌이 가구 구성원의 통근시간 가치가 가장 높았으며, 외벌이 가구와 1인 가구 순으로 통근시간 가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맞벌이 가구가 직무와 육아, 가사에 시간 압박을 많이 받아 다른 가구보다 시공간 제약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가구 유형에 따른 성별 역할 차이 때문에 맞벌이 가구 여성의 통근시간 가치는 다른 가구 유형 여성의 시간 가치보다 훨씬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