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서울이슈큐레이터

서울이슈큐레이터 - 1월의 주제 '뉴노멀 X 디지털 시대 서울의 생존전략'

등록일: 
2021.01.27
조회수: 
825
시민의 관심이슈에 정책연구로 답합니다
이 메일이 잘 안보이시나요?

인공지능이 바둑으로 인간을 이긴 지 벌써 5년 
자율주행차가 등장했고, 인공지능의 추천 알고리즘은 나보다 더 나를 잘 아는 것 같다. 디지털 전환이니 4차 산업혁명이니 하는 말들은 잘 모르겠지만, 한 가지는 어렴풋이 알겠다. 내가 살아왔던 세계가 끝나간다는 것을. 다만, 내 직장, 내 직업은 남들보다 조금 더 오래 버텨주기를 바랄 뿐. 과학기술의 발전이라는 거대하고 빠른 흐름 앞에서, 먹고살기만으로도 힘에 부치는 개인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과학기술의 발전은 산업구조를 바꾸고, 사회와 문화를 바꾸고, 우리의 일상을 바꿉니다. 그러나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이런 변화에 온전히 대응하기 벅찹니다 부작용은 최소화하고 과실은 최대한 누릴 수 있도록, 서울시가 나서야 할 것입니다.
 
코로나19 사태는 디지털 전환이라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에 가속도를 붙였습니다. 인공지능·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시대는 이미 도래했습니다. 

서울연구원 시민경제연구실 소속 11명의 연구진이 1년간 진행한 연구를 소개합니다.
 
주재욱 외, 2020, 『디지털 시대의 서울 경제』, 서울연구원 시민경제연구실
이 책은 빠르게 변하는 세상 속에서 서울 경제가 처한 상황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시민과 함께 모색해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나의 삶에 미칠 영향에 대해 한 번이라도 고민해보셨던 모든 분에게 권하고 싶습니다.

자동차가 발명되면서 마차가 사라졌듯이, 기술 발전은 직업의 생멸에 영향을 줍니다. 서울시민의 직업 중에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장래 사라질 위험이 가장 큰 직업, 그래서 서울시의 대책 마련이 가장 시급한 직업은 무엇일까요?
위 단행본의 3부 2챕터 ‘기술변화가 서울 시민의 직업에 미칠 영향’ 또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서울시 노동시장 진단과 대응방향』에서 그 분석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위 연구는 서울시민의 직업을 다음과 같이 총 4개 집단으로 구분했습니다.

오은주, 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서울시 노동시장 진단과 대응방향』, 서울연구원 시민경제연구실
위 구분표를 기준으로 서울시민의 2015년 취업자의 2025년 고용 위협 전망을 살펴본 결과 서울 취업자의 57%는 저위험 직종에 종사하고 있었습니다.  
서울시민 중 저위험 직업 종사자가 과반이고 그 비율이 경기(51.8%)나 전국(47.1%)보다 높다는 점은 희망적이지만 고위험 직업 종사자를 위한 직종 전환 지원책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디지털 시대를 대표하는 신산업, 사물인터넷(IoT)의 현주소와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  단행본 2부 2챕터 ‘10인 10색, 서울의 사물인터넷 기업들’ 또는 『서울시 사물인터넷 산업 잠재력과 육성방안』(조달호, 2018) 를 참고해주세요.

조달호, 2018, 『 서울시 사물인터넷 산업 잠재력과 육성방안  』, 서울연구원 시민경제연구실
세상의 모든 사물과 사람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 
이것은 전국에서 사물인터넷 관련 사업체가 가장 많고 우수한 인프라와 많은 소비자까지 가진 도시 서울의 차세대 성장동력이 될 것입니다.

[서울인포그래픽스] 서울시 사물인터넷 산업의 현재와 미래는? (266호, 2018)

과학기술이 만들어 낼 세상의 변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입니다.
그러나 인류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기술 발전은 때로 해가 되기도 했습니다.  
“마법과 구별되지 않을”(p.13) 정도로 발전한 과학기술이 재앙이 아닌 축복이 될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하고 움직여야 할 시기입니다.  
서울연구원이 모색해 본 서울의 디지털 시대 생존전략, 위의 책 5부 ‘4차 산업혁명, 서울의 도약계기로’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보다 디테일하고 치밀한 대응정책을 찾는 분들께 서울시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방향을 다룬 보고서를 소개해 드립니다.

주재욱, 2020, 『수도권 디지털경제 현황과 서울시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방향』, 서울연구원 시민경제연구실
서울은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보유한 도시로, 우리나라가 소프트웨어 산업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습니다. 지리적·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클러스터 전략으로 디지털 시대에 선제 대응하는 서울의 모습, 기대해보셔도 좋겠습니다.

서울연구원의 주관으로 발표된 관련 학술연구와 해외사례를 알려드리는 코너입니다.
해외도시도 대세는 '디지털 전환' 
국내 최고의 해외도시 정책사례&트렌드 소개 정기간행물, 서울연구원 『세계도시동향』에 실린 해외 도시의 디지털시대 대응 정책 사례 중 참고하실만한 자료를 선별해 보았습니다. 가볍게 읽어보세요!
 
이번 달 준비한 큐레이션 콘텐츠는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연구원
 
06756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40길 57 (서초동)
대표전화 02-2149-1234 | 다산 콜센터 02-120
Copyright 2019 Seoul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본 메일은 발신전용으로 회신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