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걷는 도시, 서울’ 정책효과와 향후 정책방향

등록일: 
2019.12.16
조회수: 
3098
저자: 
이신해, 정상미
부서명: 
교통시스템연구실
분량/크기: 
74Page
발간유형: 
정책
과제코드: 
2019-PR-09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283.72 KB)
PDF icon 요약 (289.33 KB)
PDF icon 원본 (7.91 MB)
PDF icon 부록 (168.15 KB)

대중교통시설 주변지역 고령자 보행권 신장하고 보행 유관정책 시행 시 보행성 평가 의무화해야

2012년부터 적극 시행된 서울시 보행정책의 전반적 평가가 필요한 시점

서울시의 보행정책은 민선 5기 박원순 시장이 취임한 이후 적극적으로 전개되었다. 2012년 「보도블록 10계명」 선언을 시작으로 2013년 「보행친화도시」, 2014년 「도심주요도로 차도축소」 등 보행친화정책이 시정 전반의 정책기조로 확산되었으며, 2016년 「걷는 도시, 서울」 정책에서 극대화되었다. 이에 따라, 사업 규모 및 형태가 서로 다른 보행사업이 동시에 진행되어 사업을 담당하는 부서도 배분되고 사업 효과를 평가하는 방식도 달라지게 되었다. 지금까지는 보행사업별로 만족도와 같은 정성적 평가, 보행지표 등을 산출하는 정량적 평가 등이 지자체, 시민단체, 연구원 등에서 주로 진행되었다. 기수행되었던 보행 평가는 개별 보행사업이 지역에 미친 영향을 판단하기에 충분히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이제는 보행친화도시 서울로 가기 위해 6년간 적극적으로 시행했던 보행정책을 되짚어 봐야 하는 시기가 도래했으며, 전체 보행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걷는 도시, 서울’ 보행정책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평가를 수행하고 향후 관련 보행정책 마련 시 참고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중교통 이용객 7년간 8.6%, 유동인구 1년간 25.7%, 매출액 1년간 8.6% ↑

‘걷는 도시, 서울’ 보행사업의 대중교통 이용객 수, 유동인구, 매출액 지표는 과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 전체 평균 증가율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중교통 이용객 수는 총 71개 단위사업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7년간 약 8.6% 증가하였다. 이는 동기간 서울시 평균 증가율 3.1%보다 약 5.5%p 높은 값이다. 유동인구는 총 78개 단위사업을 통해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1년간 약 25.7% 증가하여 서울시 평균 증가율 18.8%보다 6.9%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총 12개 단위사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1년간 약 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 평균 증가율 2.7%보다 약 5.9%p 높은 값이다. 
대중교통 이용객의 경우 차로 축소 및 보도 확장이 주 목적인 도로공간재편 사업(26.7%)과 생활권 도로다이어트 사업(16.8%), 승용차 수요를 직접적으로 제한하는 대중교통전용지구 사업(11.6%)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유동인구는 보행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보행환경개선지구 사업(103.7%), 기존 중앙버스전용차로와 연계하고 보행공간 확충을 시행하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사업(36.5%)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매출액은 지역대표보행거리 사업(33.3%), 도시재생사업(17.1%), 도심보행특구 사업(10.1%) 등에서 전년 대비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20대는 대중교통 이용자가 승용차 이용자보다 1인당 소비가 더 많은 편

홍대 거리, 이태원 거리, 가로수길 등 기존 대표 보행거리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승용차 이용자는 보행거리에서 1인당 평균 28,148원을 사용하였고 대중교통 이용자는 1인당 평균 23,471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인당 소비금액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다른 연령대와는 달리 20대는 대중교통 이용자가 승용차 이용자보다 1인당 소비를 더 많이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중교통 이용자의 소비금액은 29,360원/인으로 승용차 이용자 소비금액 18,636원/인보다 1만 원 정도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이 주로 방문하는 가게는 음료 가게(36.8%), 음식점(31.6%), 의류·잡화점(14.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보행거리는 20대 생활인구 비중이 특히 높은 지역이다. 향후 서울시에서 위와 같이 연령대 및 수단별 접근 특성을 고려하여 대표 보행거리를 선정한다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가 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