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포그래픽스로 본 서울의 변화 Ⅱ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12/09/2019 - 10:19등록일:
2019.12.09
조회수:
4846
교통
서울 자동차 등록 대수는 2012년 297만 대에서 2018년 312만 대로 5.2% 증가했고, 승용차 비율은 82.4%에서 85.1%로 소폭 상승함. 나눔카 이용자는 12월 기준 2015년 대비 2018년 3배 증가함. 2018년 자전거도로는 총 916km로 도로변이 70%를 차지함.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누적 대여 건수는 2015년 11만 건에서 2018년 1,700만 건으로 늘었음. 불법 주·정차 단속건수도 244만 건에서 280만 건으로 증가함.
표 1. 자동차 등록 현황 (단위: 대, %)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전체 | 2,969,184 | 2,973,877 | 3,013,541 | 3,056,588 | 3,083,007 | 3,116,256 | 3,124,651 |
승용차 | 2,447,876 | 2,462,515 | 2,510,742 | 2,560,154 | 2,598,344 | 2,641,190 | 2,658,637 |
비율 | 82.4 | 82.8 | 83.3 | 83.8 | 84.3 | 84.8 | 85.1 |
자료: 국토교통통계누리
표 2. 나눔카 운영 현황 (단위: 명, 개소, %)
구분 | 이용자 | 운영규모(2018) | |||||
---|---|---|---|---|---|---|---|
2015.12 | 2018.12 | 민간시설 | 공동주택 | 자치구공영 | 서울시공영 | 합계 | |
내용 | 897,662 | 2,598,143 | 784 | 302 | 294 | 64 | 1,444 |
54.3 | 20.9 | 20.4 | 4.4 | 100.0 |
주: 1) 민간시설: 민간주차장, 일반 민간회사, 쇼핑몰 등, 2) 공동주택: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자료: 서울시 2019년 7월 1일자 보도자료
표 3. 자전거도로 (단위: km, %)
구분 | 도로길이 | 유형별 도로 길이(2018) | |||||
---|---|---|---|---|---|---|---|
2015 | 2018 | 도로변 | 하천변 | 교량 | 공원 | 합계 | |
내용 | 779 | 916 | 639 | 263.7 | 7.3 | 6 | 916 |
69.8 | 28.8 | 0.8 | 0.7 | 100.0 |
자료: 서울시 홈페이지(교통분야 자료실)
표 4. 공공자전거 따릉이 운영 현황 (단위: 천 건, 천 명)
구 분 | 2015 | 2016 | 2017 | 2018 | |
---|---|---|---|---|---|
대여 건수 | 114 | 1,612 | 5,031 | 10,062 (’15~’18 누적 16,819) | |
회원 수 (누적) | 34 | 211 | 597 | 1,093 |
자료: 서울시 2019년 11월 4일자 보도자료
표 5. 불법 주·정차 단속 현황 (단위: 건, %)
구분 | 단속 건수 | 상위 3개 자치구(2018) | |||||
---|---|---|---|---|---|---|---|
2015 | 2018 | 강남구 | 서초구 | 영등포구 | |||
내용 | 2,437,130 | 2,791,444 | 296,820 | 226,984 | 166,145 | ||
10.6 | 8.1 | 6.0 |
자료: 서울시 홈페이지(교통분야 자료실)
고용·노동
2018년 서울시 고용률은 2013년보다 소폭 감소한 반면, 실업률은 증가함. 12월 기준 신규취업자 중 여성 비율은 2013년 59.2%, 2018년 65.8%로 증가함. 2018년 서울의 맞벌이 가구도 2013년보다 4.2% 증가함. 2018년 상용 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356만 원으로 전년 대비 전국은 4.3% 증가한 반면 서울은 3.4% 증가함. 2018년 경력단절여성은 32만 명으로 전체 기혼여성의 19.8%를 차지함.
표 1. 고용·실업률(단위: %)
구분 | 2013 | 2015 | 2018 |
---|---|---|---|
고용률 | 59.9 | 60.0 | 59.6 |
실업률 | 3.9 | 4.2 | 4.8 |
주: 1) 고용률: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 2) 실업률: 실업자가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율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표 2. 신규 취업자(단위: 명, %)
구분 | 2013.12 | 2018.12 | 2013.12 상위 3개 직종 | 2018.12 상위 3개 직종 | ||||
---|---|---|---|---|---|---|---|---|
전체 | 22,168 | 18,029 | 경영, 회계, 사무 관련 전문직 | 경비 및 청소 관련직 | 보건, 의료 관련직 | 청소 및 기타 개인서비스직 | 경영·행정· 사무직 | 돌봄서비스직 (간병·육아) |
남 | 9,036 (40.8) | 6,164 (34.2) | ||||||
여 | 13,132 (59.2) | 11,865 (65.8) | 22.3 | 18.5 | 6.7 | 25.5 | 18.8 | 5.9 |
주: 서울 소재 워크넷 등록기관 기준
자료: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구인구직 및 취업동향
표 3. 맞벌이 가구 (단위: 천 가구, %)
구분 | 2013 | 2018 | |||
---|---|---|---|---|---|
서울 | 맞벌이 가구 수 | 840 | 875 | ||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율 | 37.5 | 40.4 | |||
전국 |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율 | 43.3 | 46.3 |
자료: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표 4. 상용 근로자 월평균 임금 (단위: 원, %)
구분 | 2013 | 2018 | ||
---|---|---|---|---|
상용 월평균 임금 | 전년 대비 임금 상승률 | 상용 월평균 임금 | 전년 대비 임금 상승률 | |
전국 | 2,736,921 | 4.5 | 3,259,281 | 4.3 |
서울 | 3,168,798 | 5.4 | 3,563,940 | 3.4 |
자료: 통계청 지역통계총괄과
표 5. 경력단절여성 (단위: 천 명, %)
구분 | 2014 | 2018 | ||||
---|---|---|---|---|---|---|
15~54세 기혼여성 | 비취업여성 | 경력단절여성 | 15~54세 기혼여성 | 비취업여성 | 경력단절여성 | |
전국 | 9,733 | 3,957 | 2,164 | 9,005 | 3,457 | 1,847 |
서울 | 1,819 | 732 | 358 | 1,635 | 629 | 324 |
주: 경력단절여성은 만 15세 이상 54세 이하 기혼여성 중 결혼, 임신·출산, 자녀의 교육, 육아로 인해 직장을 그만둔 여성임. 2014년 조사부터 경력단절 사유에 '가족돌봄' 포함
자료: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