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살고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삶은?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09/16/2019 - 09:41등록일:
2019.09.16
조회수:
3950
전국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2명은 서울 거주
- 국내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은 2000년대 빠르게 증가, 2009년 한 해 동안 3천 명이 입국해 최고기록
- 2019년 6월 기준 국내 거주 북한이탈주민은 3만 명, 서울 거주자는 7천 1백 명으로 국내 북한이탈주민의 23.2% 차지
서울거주 북한이탈주민은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고, 30·40대가 절반
- 서울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성별은 남자 32.1%, 여자 67.9%로 여자가 2배 이상 많아
- 나이는 40대(24.0%), 30대(21.0%), 50대(18.9%) 순으로 30·40대가 절반가량(45.1%) 차지
- 출신지역은 중국·러시아와 인접한 함경북도가 57.6%로 가장 많고, 인접한 양강도(15.6%)가 뒤이어
남한살이, 경제적 어려움과 외로움이 가장 힘들어
- 2018년 서울거주 북한이탈주민은 가정·직장보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더 느낀다고 응답
- 10명 중 1명은 자살충동을 느낀 적 있고, 그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34.5%), 외로움·고독(28.6%), 신체·정신적 질환 장애(26.7%) 순
힘들 때 위로가 되는 사람 ‘이웃·동료’는 1.3% 수준
- 10명 중 5명은 갑자기 많은 돈이 필요할 때 도움받을 수 있는 지인이 없고, 10명 중 2명도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하고 싶을 때 부탁할 지인이 없다고 응답
- 어려운 일이 생기면 의지가 가장 되는 사람은 배우자가 25.1%로 가장 많고, 동료는 1.2%, 이웃은 0.1% 수준
표 1.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단위: 명)
구분 | ~1998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내용 | 947 | 1,043 | 1,142 | 1,285 | 1,898 | 1,384 | 2,028 | 2,554 | 2,803 | 2,914 | 2,402 |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6 | 합계 | |
내용 | 2,706 | 1,502 | 1,514 | 1,397 | 1,275 | 1,418 | 1,127 | 1,137 | 546 | 33,022 |
자료: 통일부 홈페이지, 북한이탈주민정책 통계(2019.6.기준)
표 2. 2019년 북한이탈주민 현황(단위: 명, %)
구분 | 경기 | 서울 | 인천 | 충남 세종 | 충북 | 경북 | 경남 | 부산 | 강원 | 대구 | 대전 | 전남 | 광주 | 전북 | 울산 | 제주 | 합계 |
---|---|---|---|---|---|---|---|---|---|---|---|---|---|---|---|---|---|
내용 | 9,870 | 7,083 | 2,874 | 1,602 | 1,268 | 1,089 | 1,064 | 1,024 | 770 | 673 | 630 | 619 | 591 | 533 | 530 | 322 | 30,542 |
비율 | 32.3 | 23.2 | 9.4 | 5.2 | 4.2 | 3.6 | 3.5 | 3.4 | 2.5 | 2.2 | 2.1 | 2.0 | 1.9 | 1.7 | 1.7 | 1.1 | 100.0 |
자료: 통일부 홈페이지, 북한이탈주민정책 통계(2019.6.기준)
표 3. 서울 북한이탈주민 성별/연령(단위: %)
구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세 이상 | 합계 |
---|---|---|---|---|---|---|---|---|
남 | 0.4 | 7.2 | 20.8 | 21.2 | 17.6 | 18.6 | 14.2 | 100.0 (32.1) |
여 | 0.1 | 3.3 | 16.8 | 21.0 | 27.1 | 19.0 | 12.7 | 100.0 (67.9) |
합계 | 0.2 | 4.6 | 18.1 | 21.0 | 24.0 | 18.9 | 13.2 | 100.0 (100.0) |
주: 거주자 기준으로 사망·말소자와 주소 불명, 이민, 보호시설에 있는 인원 제외
자료: 통일부, 내부자료(2019.3.기준)
표 4. 서울 북한이탈주민 출신지역(단위: %)
구분 | 함북 | 양강 | 함남 | 평양 | 평남 | 평북 | 강원 | 황남 | 황북 | 자강 | 남포 | 기타 | 개성 | 합계 |
---|---|---|---|---|---|---|---|---|---|---|---|---|---|---|
합계 | 57.6 | 15.6 | 8.9 | 3.9 | 3.8 | 3.0 | 1.9 | 1.5 | 1.4 | 0.9 | 0.7 | 0.6 | 0.2 | 100.0 |
주: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에 있는 일부 인원은 제외된 수치
자료: 통일부, 내부자료(2019.3.기준)
표 5. 스트레스 인지정도(단위: %)
구분 | 매우 많이 느낌 + 느낌 | 느끼지 않음 | 전혀 느끼지 않음 | 무응답 | 합계 |
---|---|---|---|---|---|
가정생활 | 45.5 | 38.6 | 15.9 | 0.0 | 100.0 |
직장생활 | 53.6 | 32.1 | 11.3 | 3.0 | 100.0 |
학교생활 | 53.8 | 36.2 | 8.9 | 1.1 | 100.0 |
전반적인 일상생활 | 56.0 | 36.9 | 6.4 | 0.7 | 100.0 |
주: 2018년 5월 1일 기준 통일부에 등록되어 있는 만 15세 이상 북한이탈주민 중 실제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전문상담사가 직접 대인면접조사를 한 결과, 전국 표본은 3,000명 중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은 1,722명
자료: 통일부(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하나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사회통합조사
표 6. 자살충동 경험과 이유(단위: %)
구분 | 자살충동 경험 | 이유 | ||||||||||
---|---|---|---|---|---|---|---|---|---|---|---|---|
있음 | 없음 | 합계 | 경제적 어려움 | 외로움과 고독 | 신체·정신적 질환 장애 | 학교성적 및 진학문제 | 친구·동료와 불화 및 따돌림 | 가정 불화 | 이성 문제 | 직장 문제 | 합계 | |
내용 | 14.3 | 85.7 | 100.0 | 34.5 | 28.6 | 26.7 | 3.9 | 3.3 | 1.1 | 1.3 | 0.7 | 100.0 |
자료: 통일부(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하나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사회통합조사
표 7. 도움받을 수 있는 주변인물 유무(단위: %)
구분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 |||
---|---|---|---|---|---|---|
있음 | 없음 | 있음 | 없음 | 있음 | 없음 | |
내용 | 45.2 | 54.8 | 77.1 | 22.9 | 81.9 | 18.1 |
자료: 통일부(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하나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사회통합조사
표 8. 어려운 일이 생기면 의지가 가장 되는 사람(단위: %)
구분 | 배우자 | 부모 | 자녀 | 친구 | 형제·자매 | 자기자신 | 애인 | 없음 | 성직자 | 기타 | 동료 | 무응답 | 이웃 | 합계 |
---|---|---|---|---|---|---|---|---|---|---|---|---|---|---|
내용 | 25.1 | 17.1 | 13.1 | 12.7 | 9.8 | 9.5 | 3.3 | 3.2 | 3.0 | 1.6 | 1.2 | 0.3 | 0.1 | 100.0 |
자료: 통일부(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하나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사회통합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