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나무 가득한 도시’ 1920년대부터 지속 노력 (캐나다 에드먼턴市)
등록일:
2019.08.21
조회수:
376
캐나다 에드먼턴市는 도시에 숲과 나무를 늘려나가기 위해 1920년대부터 꾸준한 노력을 기울였음. 산림전담부서를 운영하고, ‘나무를 위한 뿌리’라는 중장기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시설과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식수행사 지원, 기금 마련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시행
개요: 에드먼턴 도시 수목의 역사
- 도시의 수목관리와 토종 수종의 다변화를 위해 오랜 기간 노력
- 에드먼턴시는 북아메리카에서 거의 유일하게 네덜란드 느릅나무질병3)에서 벗어난 도시이자 캐나다에서 가장 큰 공원을 확보한 도시이며, 다양한 수목이 서식 중
- 상대적으로 소수 품종만이 드물게 있던 대초원에서 지금과 같이 다양한 도시 숲을 확보하게 된 것은 시정부・시민・지역사회 파트너가 함께 장기적으로 노력한 결과
- 1920년대부터 민・관이 합심해 본격적으로 나무를 심기 시작
- 1920년대 에드먼턴 나무심기 위원회(Edmonton Tree Planting Committee)가 도시 주변의 숲에서 자작나무・상록수 등을 파내 가로수로 심는 역할을 맡음
- 시청, 에드먼턴 원예학회(Edmonton Horticultural Society), 에드먼턴 연맹(Edmonton Federation of Community League) 등이 협력
- 1927년 에드먼턴 원예학회는 나무 보육을 시작하고 느릅나무와 물푸레나무 등의 수종을 확장
- 1961년 에드먼턴 임업과(Edmonton Forestry Section)가 창설되어, 수목관리 외에도 협곡과 해충 관련 업무도 담당
- 여러 주체가 협력해 지속 노력한 결과 10년 만에 많은 수의 나무를 식재수목관리 주요 내용
- 1920년대 에드먼턴 나무심기 위원회(Edmonton Tree Planting Committee)가 도시 주변의 숲에서 자작나무・상록수 등을 파내 가로수로 심는 역할을 맡음
- 에드먼턴시 수목관리의 5단계
- 1단계: 수목관리 연구와 계획수립을 위해 다른 도시의 산림관리 계획을 연구하며, 인터넷 조사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요구사항을 평가하고 이해관계자 협의를 계획
- 2단계: 프로젝트팀과 협력하여 개발3) 느릅나무에 걸리는 곰팡이질병으로, 딱정벌레를 매개체로 옮는다.
- 3단계: 내부 자문 그룹과 협력하여 검토할 계획의 초안 개발
- 4단계: 수립된 초안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의견수렴 절차 시행
- 5단계: 의견수렴 결과 검토 후 계획의 제출・승인
- 나무 보육원(Old Man Creek Nursery)
- 재식림, 공동체 녹화 등을 지원하는 기관인 ‘Parks & Roads Branch’에 병에 걸리지 않은 질 좋은 식물을 공급하기 위해 1910년부터 운영
- 현재 시에서 사용하는 모든 나무・관목・귀화식물 등을 재배하고 분배
- 연평균 3,000그루 나무, 10만 개 귀화식물, 3,500개 넘는 관목을 처리
- 재식림, 공동체 녹화 등을 지원하는 기관인 ‘Parks & Roads Branch’에 병에 걸리지 않은 질 좋은 식물을 공급하기 위해 1910년부터 운영
- 도시 나무심기 사업 ‘나무를 위한 뿌리’
- 주민 개개인, 지역사회 단체와 지속적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도시 내 나무심기를 늘려나가는 사업
- 연간 4만 5천 그루의 나무를 추가로 심는 것이 목표
- 에드먼턴시의 식목일은 매년 5월 10일이며, 1893년에 최초의 식목일 행사를 진행
- 시는 1950년대 초반부터 모든 초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상록수 모종을 나눠주는 전통을 세웠으며, 이후 알버타주 전역으로 확장
- 주민 개개인, 지역사회 단체와 지속적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도시 내 나무심기를 늘려나가는 사업
- 식목일 나무 이야기
- 개인주택 위주의 주거형태를 지닌 에드먼턴시에서는 아이들이 식목일에 심은 나무와 함께 자라며, 이사할 때에도 나무를 같이 옮기는 등 나무와 함께한 개인의 ‘이야기’가 많음
- 이에 따라, 시는 대화형 온라인지도인 ‘yegTreeMap’을 이용해 나무와 관련된 시민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 442호 참고)
- 시민들은 온라인지도에 자신의 나무를 표시하고 나무의 사진과 그에 얽힌 자신의 이야기를 올릴 수 있음
[그림 1] 한 시민이 올린 나무 사진과 이야기
주: 1983년 초등학교 1학년 때 심은 나무이며, 잦은 이사와 학업 문제로 곁에 있지 못하는 시간이 길었지만, 지금까지 잘 자라주었다는 이야기와 함께 등록
- 시민들은 온라인지도에 자신의 나무를 표시하고 나무의 사진과 그에 얽힌 자신의 이야기를 올릴 수 있음
- 식수 행사
- 회사와 같은 단체가 환경・지역사회 봉사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시 관계자가 식수 이벤트 진행을 지도
- 단체의 크기는 10~100명으로 한정하고 있고 행사는 2시간 동안 진행
- 식수 행사 진행 시 시정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 도시 숲에 나무심기 시연, 안전 이야기,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 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리더(진행자) 파견
- 나무심기가 가능한 승인된 장소의 목록, 안전・기술 표준 팸플릿, 관련 정보
- 식재 위치에 적합한 모종을 골라 최대 100개를 삽, 물, 접목가방 등과 함께 제공
- 회사와 같은 단체가 환경・지역사회 봉사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시 관계자가 식수 이벤트 진행을 지도
- 학교 운동장 녹화 기금
- 에드먼턴시청과 공공기관, 가톨릭교회, 프랑스 학교연합회는 야외 교실・정원의 녹화 활동을 장려
- 시가 주관하는 에코시티 에드먼턴을 비롯해 연방정부, 은행 등 다양한 기관에서 녹화 기금을 제공
- 에드먼턴시청과 공공기관, 가톨릭교회, 프랑스 학교연합회는 야외 교실・정원의 녹화 활동을 장려
- 뿌리덮기(Mulching)용 목재 무료 제공 프로그램
- 버려진 목재에서 나온 부산물을 뿌리덮기용으로 무료 제공
- 뿌리덮기는 식물 뿌리의 습기 보존, 질병과 침입종 번식 예방에 효과
- 목재 부산물은 시 재활용센터에서 대량으로 제공하며, 시민이 직접 가져가야 함
- 버려진 목재에서 나온 부산물을 뿌리덮기용으로 무료 제공
- 나무 상태 평가 프로그램
- 시청 임업과 직원이 매년 도시 나무의 상태를 평가
- 스트레스를 받아 잘 자라지 못하는 나무에는 물과 양분을 공급하고, 병해충 모니터링과 치료도 수행
- 시민에게 인명・재산상의 손해를 끼칠 위험이 있는 나무는 우선순위에 따라 제거하며, 시민이 직접 신고할 수 있는 창구도 마련
- 시청 임업과 직원이 매년 도시 나무의 상태를 평가
https://www.edmonton.ca/city_government/initiatives_innovation/root-for-...
https://www.edmonton.ca/programs_services/for_schools_students_teachers/...
https://www.edmonton.ca/residential_neighbourhoods/PDF/Urban_Forest_Mana...
장 지 훈 통신원, macgyva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