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언론기사

청년들에게 기본소득 50만원” 2년간 정책 실험 제안

등록일: 
2019.03.22
조회수: 
216

서울시 산하 연구기관인 서울연구원(원장 서왕진)이 민간 연구기관 LAB2050(대표 이원재)과 공동연구로, 실험집단(2400명)에게 2년간 기본소득 형태의 수당을 주고, 청년수당이 청년들의 노동 참여, 결혼 등 자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보는 ‘청년기본소득 형태의 청년수당 2.0 정책 실험안’을 서울시에 제안했다.

이들 기관은 지난달 국회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구직 활동을 전제로 제공하는 현재의 청년수당 방식을 일체의 조건을 붙이지 않는 청년기본소득 형태로 확대 개편을 검토해야 한다”며 이런 정책 실험을 서울시와 각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에 제안했다. 이들은 청년기본소득 제공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 효과 검증의 필요성 등을 고려해 먼저 2년간 정책 실험을 해보고 정책 전환의 타당성을 검증하자고 주장했다.

현행 청년수당은 서울시의 경우 2016년부터 ‘주 30시간 미만 취업자, 기준 중위소득 150% 미만의 만 19~29살의 청년에게 월 50만원을 최소 2개월에서 6개월 지급하는 제도’다. 고용노동부와 일부 지자체에서도 시행 중인 ‘청년 구직 지원 제도’다.

그러나 서울연구원 등이 이번에 제안한 ‘청년수당 2.0’은 “기존의 청년수당 제도가 대상자의 가족 소득이 낮다는 것을 입증하거나, 구직 활동을 입증하는 과정이 실효성이 없고 자존감을 떨어뜨린다”며 조건 없는 청년수당을 지급하는 안을 제안한 것이다. 이는 사실상 청년들에게 무조건적인 기본소득을 제공하는 제도와 다르지 않다.

정책 실험 연구를 맡은 최영준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는 “청년수당은 생계유지를 위한 수당이 아니라 삶의 안정성을 부여하고 실질적 자유 수준을 높여 청년들이 삶을 능동적이고 자유롭게 계획해서 살아갈 수 있게 하자는 것”이라면서 이런 청년기본소득은 궁극적으로 “청년들에게 혁신, 고용, 소득, 소비, 시간 사용 등에서 경제적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정치사회적으로 공동체 참여, 증세·복지, 결혼 등에 관한 인식과 참여를 높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책 실험 내용

서울연구원 등이 제안한 실험 내용을 보면, 청년수당2.0 실험은 서울시에 살고 있는 만 19~29살 청년 가운데 2400명에게 2년간 청년수당을 주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다. 대상은 무조건 월 50만원을 받는 집단(800명), 근로소득만큼 차감하고 받는 집단(800명)을 아무 수당도 받지 않는 통제집단(800명)과 비교하는 실험이다. 실험에 제공되는 수당은 최대 192억원이다. (표/기본소득 방식의 청년수당 정책 실험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