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서울인포그래픽스

서울시 30·40대 경단녀들의 재취업 실태는?

등록일: 
2018.06.08
조회수: 
4750
번호: 
no.262

2016년 서울 경력단절 여성의 63.1%는 고학력 30·40대. 평균 4년 이상 근속 후 경력단절, 그만둔 이유는 적은 임금, 긴 근로시간. 재취업 여성들, 과거 정규직은 정규직으로, 비정규직은 비정규직으로 취업함으로 정리 될 수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으로 제공되는 그래픽은 하단에 표로 자세히 제공됩니다.

서울의 경단녀 78만 명 이상, 70% 이상은 기혼여성

  • 2016년 서울의 경력단절 여성은 78만 명 이상으로 연령별로 30·40대가 63.1% 차지
  • 30·40대 경력단절 여성의 75.3%가 대학졸업 이상 고학력, 73.3%는 경력단절 당시 기혼자

 

표 1.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이하 경단녀)의 연령별 분포 (단위: %, 천 명)

서울시 경력단절 여성(이하 경단녀)의 연령별 분포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합계
인구수 10 73 83 121 143 122 110 124 786
비율 1.3 9.3 10.6 15.4 18.2 15.5 14.0 15.8 100.0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통계청, 2016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표 2. 경력단절 여성의 학력 (단위: %)

경력단절 여성의 학력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고등학교 졸업 이하 대학교 졸업 대학원 석사 졸업 대학원 박사졸업 합계
비율 24.7 70.0 4.8 0.5 100.0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대상 구조화된 설문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표 3. 경력단절 당시 배우자 유무 (단위: %)

경력단절 당시 배우자 유무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배우자 있음 배우자 없음 합계
경제활동 유 경제활동 무 합계
내용 70.7 2.7 73.3 26.7 100.0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대상 구조화된 설문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그만둘 당시 직장 분위기는 휴직, 휴가 어렵고 퇴근하기에 눈치 보여

  • 근무했던 사업장 84.6%는 민간회사 또는 개인사업체, 직업은 사무종사자가 46.8%로 가장 많고 평균 4.3년 근속
  • 직장을 그만둔 이유는 적은 임금과 긴 근로시간 등이 27.5%, 장래성, 발전 가능성이 없어서가 14.2%, 결혼, 임신, 출산, 양육이 13.7% 순
  • 그만둘 당시 절반 이상이 육아휴직이나 개인사정으로 인한 휴가를 내기 어려웠고 상사보다 먼저 퇴근하기에 눈치 보여

 

표 4. 경력단절 당시 근무했던 사업장 (단위: %)

경력단절 당시 근무했던 사업장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민간회사 또는 개인사업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비영리 기관 또는 단체 합계
비율 84.6 9.6 5.8 100.0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대상 구조화된 설문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표 5. 경력단절 당시 종사한 직업 (단위: %)

경력단절 당시 종사한 직업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사무 종사자 서비스 종사자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판매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관리자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합계
비율 46.8 17.0 15.0 12.5 3.4 2.7 2.3 0.3 100.0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대상 구조화된 설문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표 6.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의 근속기간(단위: %, 개월)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의 근속기간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1년 미만 1~2년 2~3년 3~5년 5~7년 7년 이상 합계 평균
비율 13.5 15.3 14.9 19.3 18.7 18.3 100.0 52.3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대상 구조화된 설문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표 7. 직장을 그만둔 이유 (1순위) (단위: %)

직장을 그만둔 이유 (1순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적은 임금, 긴 근로시간, 계약기간 만료 장래성, 발전 가능성이 없어서 등 결혼,임신, 출산, 양육 자녀양육, 부모/가족 간병 등 성희롱, 임금/승진 차별, 결혼, 임신으로 퇴사하는 관행 등 출퇴근 거리, 건강 악화 등 파산, 폐업, 권고 사직 등 합계
비율 27.5 14.2 13.7 12.7 11.6 10.9 9.4 100.0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중 과거 임금근로자 1,119명 대상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표 8. 그만둘 당시 직장 분위기 (중복응답) (단위: %)

그만둘 당시 직장 분위기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육아휴직, 출산휴가 사용하기 어려움 개인 사정/ 집안일로 주중에 휴가 내기 어려움 상사보다 먼저 퇴근하려면 눈치 보임 야근이나 휴일근무 잦음 여성들이 인사관리에 불이익을 당하는 편
비율 63.5 62.5 61.4 39.4 35.9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중 과거 임금근로자 1,119명 대상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구직 조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임금·수입과 일과 생활의 양립

  • 재취업자 중 과거 정규직이었던 여성은 정규직(93.0%), 비정규직이었던 여성은 비정규직(68.4%)으로 일하고 있어
  • 현재 일자리 구직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것은 임금·수입(25.0%)과 일·생활의 양립(23.6%)
  • 구직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원하는 근무조건에 맞는 일자리 부족(36.1%)이 가장 많았고 상대적으로 단절기간이 짧은 여성은 정보와 취업 알선 정보 부족(20.9%)이 많아

 

표 9. 현재 일자리 고용형태 (단위: %)

현재 일자리 고용형태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현재 정규직 현재 비정규직 합계
과거 정규직 93.0 7.0 100.0
과거 비정규직 31.6 68.4 100.0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증 재취업자 360명 대상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표 10. 현재 일자리 구직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요소 (단위: %)

현재 일자리 구직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요소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임금 또는 수입 가족·개인생활 양립 가능한 근무여건 고용 안정성 출퇴근 거리 나의적성 이전 경력활용 기타 (나의 연령) 합계
내용 25.0 23.6 18.6 13.3 9.7 4.7 5.0 100.0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증 재취업자 360명 대상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

 

 

표 11. 현재 일자리를 알아보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 (단위: %)

현재 일자리를 알아보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원하는 근무조건 맞는 일자리 부족 일자리 정보 취업알선 부족 일 경험, 경력, 기술 부족 육아, 가사부담 노동부담 사회적 편견 어려움 없음 합계
전체 36.1 16.1 16.1 13.6 10.6 7.5 100.0
단절 기간 1년~3년 37.7 13.2 20.1 14.5 6.3 8.2 100.0
3년~5년 34.7 13.9 16.7 9.7 11.1 13.9 100.0

주: 서울시 거주 30세~49세의 경력단절여성(경력단절기간 3개월 이상 5년 미만) 1,200명 증 재취업자 360명 대상 온라인조사
자료: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서울시 여성의 경력단절 경로 및 영향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