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여성안심서비스 알고 있나요?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05/14/2018 - 09:25등록일:
2018.05.14
조회수:
4633
서울에 혼자 사는 청년 여성 45.9%는 성희롱․성폭행 가장 두려워해
- 서울시 청년 여성 1인 가구 중 44.6%는 일생생활에서 자신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고 현 주거지도 36.3%가 불안하다고 느껴
- 또한 범죄유형 중 성희롱과 성폭행(45.9%), 주거침입절도(24.7%)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느껴
표 1. 청년 여성 1인 가구 주관적 안전정도 (단위: %)
구분 | 매우 안전함 | 대체로 안전함 | 별로 안전하지 않음 | 전혀 안전하지 않음 | 합계 |
---|---|---|---|---|---|
비율 | 1.1 | 54.3 | 41.2 | 3.4 | 100.0 |
주: 서울시 거주 20, 30대 여성 1인 가구 700명 대상 온라인조사 및 면접조사 (2016년 5월~6월 조사)
자료: 서울여성가족재단, 2016, 「서울 1인 가구 여성의 삶 연구: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표 2. 주거지 안전에 대한 인식 (단위: %)
구분 | 매우 안전함 | 대체로 안전함 | 약간 불안함 | 매우 불안함 | 합계 |
---|---|---|---|---|---|
비율 | 6.1 | 57.7 | 35.7 | 0.6 | 100.0 |
자료: 서울여성가족재단, 2016, 「서울 1인 가구 여성의 삶 연구: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표 3. 주관적 범죄 노출 정도 (단위: %)
구분 | 성희롱/성폭행 | 주거침입절도 | 납치/인신매매 | 노상강도 | 폭행 | 택시강도 | 합계 |
---|---|---|---|---|---|---|---|
비율 | 45.9 | 24.7 | 11.2 | 9.2 | 6.9 | 2.1 | 100.0 |
자료: 서울여성가족재단, 2016, 「서울 1인 가구 여성의 삶 연구: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는 2013년부터 귀가도우미, 택배, 안심주택 등 여성안심서비스 제공
- 서울시는 여성들의 생활전반의 두려움을 줄이고 폭력․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2013년부터 여성안전대책을 마련
- 여성안심귀가스카우트, 여성안심택배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안심서비스 제공 중
표 4. 서울시 여성안심정책
구분 | 내용 | |
---|---|---|
생활 서비스 | 여성안심귀가스카우트 | 안심귀가스카우트가 지하철역에서 만나 집까지 동행 |
여성안심택배 | 무인택배보관함을 통해 택배 물품수령 | |
여성안심지킴이집 | 24시간 편의점을 ‘여성안심지킴이 집’으로 위촉 | |
안심이 앱 | 서울시 정보인프라와 연계해 실시간 모니터링, 긴급호출 기능 구현, 위기 시 경찰출동 | |
여성안심주택 | 1인 여성가구의 안전과 생활패턴을 반영한 맞춤형 임대주택 | |
지하철안전 지킴이 앱 | 열차 내 성추행, 긴급 상황 및 열차 내 불편사항 신고, 지하철 편의정보 제공 | |
지하철보안관 | 이동상인, 취객, 노숙인 등 무질서 행위자 단속, 전동차 순찰, 현행범 검거 시 경찰 인도 | |
지하철 세이프존 운영 | 심야시간대에 적극 보호 | |
여성안심보안관 | 몰래카메라 점검 및 몰래카메라 방지캠페인 시행 |
자료: 서울시, 2018, 「꼼꼼서울 여성종합가이드북」
생활밀착형 여성안심서비스 이용건수 매년 증가
- 2016년 여성안심택배 이용건수는 37만 건 이상으로 3년 전보다 13배 이상 증가
- 여성안심스카우트도 매년 이용건수가 늘어 3년간 57만 건 이상 이용되었고 자치구별로 송파구(37,518건) 거주 여성들이 가장 많이 이용
표 5. 여성안심택배 이용 현황 (단위: 건)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합계 |
---|---|---|---|---|---|
건수 | 27,609 | 138,383 | 258,895 | 370,162 | 795,049 |
자료: 서울정보소통광장, 여성안심택배 실적
표 6. 여성안심스카우트 이용 현황 (단위: 건)
구분 | 2014 | 2015 | 2016 | 합계 |
---|---|---|---|---|
건수 | 102,139 | 233,290 | 241,838 | 577,267 |
자료: 서울시, 2016, 「서울여성백서」
표 7. 여성안심스카우트 자치구별 이용 현황(2015~2016) (단위: 건, %)
구분 | 송파구 | 서초구 | 금천구 | 관악구 | 영등포구 | 강동구 | 구로구 | 강북구 | 동작구 | 성동구 |
---|---|---|---|---|---|---|---|---|---|---|
건수 | 37,518 | 37,287 | 36,104 | 32,866 | 29,467 | 28,707 | 27,018 | 24,340 | 23,618 | 21,213 |
비율 | 7.9 | 7.8 | 7.6 | 6.9 | 6.2 | 6.0 | 5.7 | 5.1 | 5.0 | 4.5 |
자료: 서울정보소통광장, 여성안심스카우트 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