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동물등록제 등록현황은?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04/16/2018 - 08:51등록일:
2018.04.16
조회수:
4041
반려견 양육 첫 단계는 동물등록, 미이행 시 과태료 부과
- 동물등록제는 반려견의 보호와 유기·유실 방지를 위해 생후 3개월령 이상의 개를 소유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관할 자치구에 등록하는 제도
- 동물등록 미이행 시 최고 4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1차는 경고, 2차는 20만 원, 3차부터 40만 원)
서울시 반려견 절반 이상은 미등록
- 2013년 동물등록제 도입 후 4년간 서울에 등록된 반려견은 총 236,285마리로 전국의 22.1% 규모
- 2016년 한 해 2만 마리 이상이 등록되었고 등록된 반려견의 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등록률은 절반도 안 되는 수준
- 등록기관은 대부분이 동물병원이며 등록방식은 내장형(무선식별장치 삽입)이 13,145건으로 가장 많아
표 1. 서울시 누적 동물등록 현황 (단위: 마리, %)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
---|---|---|---|---|---|---|
전국 | 서울 | 비중 | ||||
내용 | 162,366 | 202,459 | 223,087 | 1,070,707 | 236,285 | 22.1 |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7.6.12.일자)
표 2. 2016년 서울시 동물등록 현황 (단위: 마리)
구분 | 내장형 | 외장형 | 인식표 | 계 |
---|---|---|---|---|
내용 | 13,145 | 7,610 | 1,638 | 22,393 |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7.6.12.일자)
표 3. 서울시 동물등록률 (단위: %)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6 |
---|---|---|---|---|
내용 | 32.0 | 40.2 | 44.4 | 46.9 |
자료: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표 4. 서울시 동물등록제 등록대행기관 현황 (단위: 개소)
구분 | 동물병원 | 보호센터 | 동물판매업소 | 보호단체 | 합계 |
---|---|---|---|---|---|
내용 | 769 | 34 | 22 | 1 | 826 |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17.6.12.일자)
미등록 이유는 “방법·절차 복잡해서”
- 미등록 이유는 “등록방법 및 절차가 복잡하다”는 의견이 51.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필요성을 못 느낌”(31.8%), “등록 제도를 알지 못해서”(12.1%) 순
- 현재 동물등록방식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이 내장형과 외장형을 선택할 수 있는 현재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생각
표 5. 미등록 이유 (단위: %)
구분 | 등록방법 및 절차가 복잡함 | 필요성을 못느낌 | 등록 제도를 알지 못해서 | 동물등록 대행업체를 찾기 어려움 | 합계 |
---|---|---|---|---|---|
내용 | 51.4 | 31.8 | 12.1 | 4.7 | 100.0 |
주: 전국 17개 시·도 만 20세 이상 64세 이하 성인 남녀 전국 유효표본 5,000명 중 서울시 응답자 598명 대상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17,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보고서」
표 6. 등록방식에 대한 의견 (단위: %)
구분 | 현행 선택방식 유지가 바람직 | 내장형 일원화가 바람직 | 기타 | 합계 |
---|---|---|---|---|
내용 | 59.5 | 40.0 | 0.5 | 100.0 |
주: 전국 17개 시·도 만 20세 이상 64세 이하 성인 남녀 전국 유효표본 5,000명 중 서울시 응답자 598명 대상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17,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