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서울인포그래픽스

서울시 공동체공간 운영현황과 이용자 만족도는?

등록일: 
2018.03.12
조회수: 
4063
번호: 
no.255

 서울시는 2012년부터 주민주도 공동체공간 지원, 2017년 228개 운영 중. 이용자 절반은 주 1~2회 방문, 40대와 여성이 가장 많음. 이용자 10명 중 7명이 지역에 꼭 필요하고 이웃과의 관계 좋아진다고 답변함으로 정리 될 수 있습니다.인포그래픽으로 제공되는 그래픽은 하단에 표로 자세히 제공됩니다.

공동체공간은 마을사랑방, 공동육아 장소 등으로 운영 중

  • 서울시는 2012년 마을공동체 정책 중 ‘공동체공간’ 조성을 중점 과제로 삼았으며, 주민이 스스로 계획을 수립, 제안, 실행하는 공동체공간에 보조금을 지원
  • 2017년 운영 중인 공동체공간은 총 228곳(중복 제외), 사업 유형은 우리마을공간(43.1%), 마을기업(41.4%)이 대다수
  • 운영단체는 협동조합(28.4%), 임의단체(24.3%), 주민모임(23.0%) 순

 

표 1. 2017년 주민주도 공동체공간(이하 공동체공간) 사업 유형

2017년 주민주도 공동체공간(이하 공동체공간) 사업 유형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우리마을공간 마을기업 마을예술창작소 합계
사례 마을사랑방, 주민쉼터, 공동육아, 공동부엌, 도서관, 카페 등 법인, 회사, 협동조합, 영농조합 등 생활공예, 제작공방 등 다양한 예술활동 공간 -
추진 기관 지역공동체 담당관 사회적경제 담당관 문화정책과 -
개소 100 96 36 232
비율 43.1 41.4 15.5 100.0

주: ① 우리마을공간 : 마을사랑방과 주민쉼터 등 다목적 공동체공간의 조성과 운영을 지원하는 사업 ② 마을예술창작소 : 주민 스스로 가까운 일상에서 생활 속 예술 활동을 통해 문화적 삶과 공동체를 실현하는 장소를 의미 ③ 마을기업 : 주민 욕구 및 지역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마을주민의 자발성을 바탕으로 둔 협동조합 원리의 사회적 경제조직을 의미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공동체공간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표 2. 공동체공간 운영단체 (단위: 개소, %)

공동체공간 운영단체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협동조합 임의단체 주민모임 비영리법인 영리법인 합계
개소 21 18 17 12 6 74
비율 28.4 24.3 23.0 16.2 8.1 100.0

주: 서울시 지원 공동체공간 74개소 운영자 면담조사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공동체공간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이용목적 1순위는 강습․세미나 참여, 이용회원 중 18.5%는 주 3회 이상 이용

  • 이용회원은 여성이 78.3%로 대다수, 연령별로는 40대(40.1%)가, 거주기간은 10년~20년(28.6%) 거주자가 가장 많아
  • 이용목적은 강습·세미나 참여(38.2%), 동아리 연습장소 및 창작공간 이용(17.8%), 교육 및 돌봄 서비스 (11.5%) 순
  • 이용회원 중 절반 이상은 주 1~2회 이용, 주 3회 이상도 18.5%에 달해

 

표 3. 공동체공간 이용자 현황 (단위: %)

공동체공간 이용자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성별 연령 거주기간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1년 미만 1년~ 5년 5년~ 10년 10년~20년 20년~30년 30년 이상
비율 21.7 78.3 1.9 12.7 25.5 40.1 15.9 3.8 5.8 24.7 22.7 28.6 11.0 7.1

주: 서울시 지원 공동체공간 회원 157명 대상 설문조사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공동체공간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표 4. 공동체공간 이용목적 (1순위) (단위: %)

공동체공간 이용목적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강습·세미나 참여 동아리 연습장소 및 창작공간 이용 교육 및 돌봄 서비스 이용 지역사회 기여 활동 참여 물품구입 단체/주민 모임 위해 개인적 용무 (독서, 학습 등) 합계
비율 38.2 17.8 11.5 4.5 3.2 14.0 10.8 100.0

주: 서울시 지원 공동체공간 회원 157명 대상 설문조사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공동체공간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표 5. 공동체공간 방문빈도 (단위: %)

공동체공간 방문빈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주1회 미만 주 1~2회 주 3~4회 주 5회 이상 합계
비율 28.0 53.5 15.3 3.2 100.0

주: 서울시 지원 공동체공간 회원 157명 대상 설문조사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공동체공간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이용회원 88.5%는 “이 공간에서 우리 마을의 공동체활동이 활발” 하다고 생각

  • 이용회원 93.0%는 공동체공간이 지역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 88.5%는 해당 공간에서 공동체활동이 활발하다고 생각
  • 또한, 공동체공간을 통해 이웃관계의 중요성을 알게 되고(78.3%), 알고 지내는 이웃이 늘어나고 (77.1%), 마을에 계속 살고 싶어졌다(79.5%)고 하여 지역사회 연계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 있어

 

표 6. 공동체공간의 필요성 및 활동정도 (단위: %)

공동체공간의 필요성 및 활동정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이 공간이 지역에 필요하다고 생각 공동체활동이 활발하다고 생각
비율 93.0 88.5

주: 서울시 지원 공동체공간 회원 157명 대상 설문조사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공동체공간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표 7. 공동체공간 이용에 따른 이웃관계 변화(긍정 응답률) (단위: %)

공동체공간 이용에 따른 이웃관계 변화(긍정 응답률)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이웃관계의 중요성 인식 알고 지내는 이웃 증가 힘들 때 도움 요청할 이웃이 생김
비율 78.3 77.1 68.8

주: ① 서울시 지원 공동체공간 회원 157명 대상 설문조사 ② 긍정 응답률은 각 문항에 ‘그렇다’,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공동체공간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표 8. 공동체공간 이용에 따른 지역사회연계 변화(긍정 응답률) (단위: %)

공동체공간 이용에 따른 지역사회연계 변화(긍정 응답률)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이 마을에 계속 살고 싶어짐 마을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 마을활동 참여 증가 지역정보 습득
비율 79.5 77.1 75.8 73.9

주: ① 서울시 지원 공동체공간 회원 157명 대상 설문조사
② 긍정 응답률은 각 문항에 ‘그렇다’,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
자료: 서울연구원, 2017, 「서울시 공동체공간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