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의 하루 신체활동 시간은?
글쓴이: siadmin / 작성시간: 월, 10/07/2013 - 18:37등록일:
2013.10.07
조회수:
5255
서울시민의 하루 평균 신체활동 시간은 4시간 30분, 신체활동 시간은 장소이동이 가장 길고, 신체활동량은 직업활동이 가장 많아
- 직업활동은 하루 평균 1시간 21분, 활동량은 405METs-분1)으로 전체의 44%, 가사일은 하루 중 51분, 활동량은 197METs-분으로 전체의 22%, 여가생활은 하루 중 39분, 활동량은 185MET-분으로 총 신체활동량의 20%이고, 장소이동은 하루 평균 1시간 38분, 활동량은 129METs-분으로 전체의 14%
- 신체활동 강도2)는 직업활동이 5.0METs로 가장 높고, 여가생활 4.7METs,가사일 3.9METs, 장소이동 1.3METs 순
주 1) 하루평균 신체활동량을 분으로 계산한 후 MET(Metavolic Equvalents Task)레벨을 곱한 것으로 직업활동 및 이동, 여가 활동에서 걷기(약 시속 5km/h)는 3.3 METs.
주 2) 신체활동량을 신체활동시간으로 나눈 값.
직업활동량과 여가활동량이 큰 집단은 주로 남성, 가사활동량이 큰 집단은 주로 여성
- 직업활동량이 큰 집단3)은 남성 비율이 높고4),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여기는 이의 비율이 높으며, 수면시간이 짧고, 음주량이 많은 이의 비율이 높음
- 장소이동활동량이 큰 집단은 키가 크고,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여기는 이의 비율이 높음
- 가사활동량이 큰 집단은 여성 비율이 높고, 기혼자 비율이 높으며, 연령이 많고, 저학력자의 비율이 높음
- 여가활동량이 큰 집단은 남성 비율이 높고, 기혼자 비율이 높고, 연령이 많고, 고소득자 비율이 높음
주 3) 각 활동량 평균을 기준으로 활동량이 큰 집단과 작은 집단을 구분
주 4) 전체의 평균적인 특성 비율보다 해당 집단의 특성 비율이 유의하게(유의수준 5%) 높음을 의미함
<표 1> 신체활동
구분 | 신체활동시간 | 신체활동량 | 신체활동강도 |
---|---|---|---|
전체 | 4시간 30분 | 916METs-분 | 14.9METs |
직업활동 | 1시간 21분 | 405METs-분 | 5.0METs |
장소이동 | 1시간 38분 | 129METs-분 | 1.3METs |
가사일 | 0시간 51분 | 197METs-분 | 3.9METs |
여가활동 | 0시간 39분 | 185METs-분 | 4.7METs |
자료 : 서울시(2012), “서울시민 신체활동 조사”
<표 2> 각 집단별 특징(단위 %)
속성 변수 | 전체 | 활동량이 큰 집단 5) | |||
---|---|---|---|---|---|
직업활동 | 여가활동 | 장소이동 | 가사일 | ||
남성 비율 | 48.6(45.8, 51.5) | 53.9 | 56.0 | 50.3 | 41.2 |
키가 165cm이상인 이의 비율 | 55.6(52.8, 58.4) | 59.3 | 59.3 | 58.9 | 48.8 |
기혼자 비율 | 61.4(58.7, 64.2) | 62.9 | 69.6 | 60.5 | 73.6 |
40세 이상 비율 | 58.5(55.7, 61.3) | 59.9 | 62.7 | 58.0 | 69.8 |
고졸 이하인 이의 비율 | 18.8(16.6, 21.0) | 21.4 | 17.0 | 19.6 | 21.3 |
월 소득 300만원 이상인 이의 비율 | 69.3(66.7, 71.9) | 74.7 | 76.9 | 70.7 | 74.1 |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비율 | 29.9(27.3, 32.5) | 37.7 | 42.6 | 32.8 | 35.0 |
수면시간이 8시간 미만인 이의 비율 | 76.2(73.8, 78.6) | 80.4 | 80.2 | 78.1 | 78.2 |
한번에 술을 5잔이상 마시는 이의 비율 | 38.9(36.1, 41.6) | 44.0 | 42.6 | 41.1 | 37.5 |
자료 : 서울시(2012), “서울시민 신체활동 조사” 주 5) 각 집단의 신체활동량 평균보다 큰 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