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지하철 역사 진·출입 시설 개편방향 연구

등록일: 
2010.07.01
조회수: 
4884
저자: 
이창,이동훈,여혜진
부서명: 
도시기반연구본부
분량/크기: 
106Page
발간유형: 
정책
과제코드: 
2009-PR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40.47 KB)
PDF icon 요약 (4.41 MB)
PDF icon 원본 (4.54 MB)

이 연구보고서는 지하철 2호선을 중심으로 서울시 지하철역 진·출입 시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보행환경 및 주변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역사출입구의 개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오늘날 서울시 지하철은 하루에 약 400만 명에 달하는 승객을 수송하고, 서울시민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약 30%를 분담하는 중요한 대중교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철의 기능을 충분히 뒷받침하기 위해서 외부공간과 지하철 역사(驛舍)를 연결하는 지상의 출입구는 보행자가 외부에서 역사까지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계획되어 왔다. 그러나 접근성을 극대화하려는 역사출입구 계획은 역세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획일적으로 적용되어, 보행자가 많이 이용하지 않는 출입구가 생기고, 역세권내의 주요한 지역과 지하철역을 효과적으로 연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제 서울시 지하철역은 단순히 수송 기능만을 담당하는 교통공간이 아니라 주거, 업무, 행정, 오락시설 등 도시의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생활권의 중심지로서 그 위상이 높아졌다. 따라서 출입구가 불필요한 곳에 있어 보행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중요한 장소에 없어 역과 연계되지 않으면 그만큼 시민의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적용되어 온 지하철 역사출입구계획을 역세권의 다양한 성격에 알맞도록 개편할 필요가 있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정책수요에 따라 지하철 2호선을 중심으로 서울시 지하철역 진·출입 시설인 역사출입구 체계를 면밀히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주변지역의 성격에 맞는 역사출입구 개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보고서의 구성을 보면, 2장에서는 서울시 지하철 1~8호선 역사 진·출입 시설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서울시 지하철 역사출입구 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다. 3장에서는 전수조사를 통해 지하철 2호선 역사출입구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변지역의 성격에 맞는 유형별 역사출입구 개편방향을 도출하고, 대상지를 선정하여 보다 구체적인 개선사례를 제시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후속 연구과제를 제안하고 있다.

태그 입력: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